Deleuze & Guattari(1980/2001) 천개의고원의 12장 '유목론 또는 전쟁기계' 를 읽고 6월 7일까지 글에 대한 질문 2-3개를 이 글에 대한 댓글로 올려주세요.
(스캔본 읽기자료 게시판에 올려두었어요~!)
질문은 어떤 질문이든 괜찮습니다. 남들에게 멋져보이는 질문 말고, 진짜 내가 궁금한 질문,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고 싶은 질문을 올려주세요.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요 하는 질문도 또 자신의 관심분야와 접속시켜 좀 더 멀리까지 연결 해 본 질문도 좋습니다. 부끄러운 마음으로 쓴 이상하고 솔직한 모든 질문들을 환영합니다~!!
질문을 올릴 때에는 글의 어떤 부분에서 생긴 질문인지 알 수 있도록 그 맥락을 질문에 포함해 주세요.
가령, 몇 페이지 어디에서 저자들이 뭐라뭐라고 하는데~ 하는 식으로 그 질문이 나온 맥락을 간단히 정리한 다음 자신의 질문을 적어주시면 이야기 나눌 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올려주신 질문들은 익명으로 모아서 모임 당일 대화에서 활용할 예정입니다.
P.681 클라이스트에게서 가장 기묘한 현대성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어찌된 일일까? 비밀과 속도 변용태가 그의 작품의 요소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클라이스트에게서 비밀은 내부성의 형식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이 아니라반대로 자체가 형식이 되며 항상 자기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성의 형식과 일치한다. 이 내용에 뒤이은 패거리 문화에 대한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학교 단위의 고집스런 행정이나 바뀌지 않을것 같은비합리적 관행이 새로 들어온 친한(?)무리의 불만의 표출로 인해 바뀔때가 있다. 이러한 것들을 비밀과 속도 그리고 변용태에 연결시켜 볼 수 있을까?
P.767~768 배치는 정념적이며 욕망의 편성이다. 욕망은 자연적이고 자발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배치하고 배치되는 것이자 기계적인 것이다. .....무기는 일시적인 수단에 불과하고 이러한 배치의진정한 목적은 변용태의 역량을 육성하는데 있는것처럼 말이다. 스스로 탈각하는것 자기를 비우는 것을 배우는 것이야 말로 전쟁 기계의 고유한 속성이다. 이것은 전사의 무위 이며 주체의 해체인 것이다. 알 듯 모를 듯한 이야기지만 매우 흥미롭다. 자기를 비울 수 있는 변용태의 역량이 배치를 통해 욕망의 편성을 바꿀 수 있다는 이야기로도 이해된다. 하지만 자기를 비우는 교육보다 욕망의 억압을 배운것 같다. 이러한 매카니즘을 교육이나 연구에서 실천한 사례가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