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an & Scheinert (2022) 감독의 영화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보고 3월 8일까지 영화에 대한 질문 2-3개를 이 글에 대한 댓글로 올려주세요.
언제나 그렇듯, 영화에 대한 이상하고 솔직한 모든 질문들을 환영합니다~!
이번 역시, 영화의 어떤 부분과 연결하여 생긴 질문인지 알 수 있도록 그 맥락을 질문에 포함해 주세요.
올려주신 질문들은 익명으로 모아서 모임 당일 대화에서 활용할 예정입니다 :-)
1. 알파유니버스 사람들은 영웅을 찾아 혼란을 멈추고 세상을 원래 모습(?)으로 돌리고자 한다. 이분법적으로 카오스는 악이고 자신들은 질서를 지키는 정의의 존재라 여긴다. 그렇게 만들기 위한 당위성으로 누군가의 희생을 당연시 한다. 세상을 비판하고 정의를 외치면서도 결국 사회적 약자를 또 희생시키는 우리들의 모습 같다. 알파유니버스의 논리에 익숙한 우리는 어떻게 이분법을 넘어선 결말부분에서의 에블린이 될까? 아니면 에블린에게서 희망을 본 죽어가는 알파웨이몬드라도 될 수 있을까? 알파유니버스에서 온 우리는 어떻게 모든 곳에 있고 무엇이든 될 수 있는 그러나 완벽하지 않은 누군가와 완벽하지 않은 지금/여기에 함께 있기로 하는 그런 몸체로 탈주할 수 있을까? 그 때 질서와 카오스, 유기체와 기관없는 몸체와의 관계는 뭘까?
2. 알파 유니버스에서는 누군가 개발한 대단한 시스템을 토대로 모두가 가면 좋을 곳과 그곳에 다다르는 주문을 미리 부여 받아 점프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에블린은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또 어디로 자신을 점프 시킬지도 모르고 점프한다. 둘의 차이는 뭘까? 어떻게 후자의 선택이 나오는걸까? 어떤 때에 이런 위험부담을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걸까? 어떤 이유로든 원래 이런 시도를 잘 안 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하면 좀 더 과감하게 이런 시도를 해볼 수 있게 될까?
3. 영화는 퀴어하고 불구이고 순진/친절한(?) 사람들(조이와 베키, 소세지 손가락 사람들, 웨이몬드)을 종종 부족한 존재로 여기는 오늘날 사회의 시선이 어떻게 대안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지 조금씩 옮겨가며 보여준다. 영화에서처럼 현실에서도 이렇게 세상이/서로가 새로이 감각될 수 있게되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자신, 타인 혹은 인간너머 존재들과 함께 어떤 접속과 점프와 인정과 저항과 싸움을 감행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