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med, S. (2010). 행복의 약속: 불행한 자들을 위한 문화비평(성정혜, 이경란 역, 2021)의 2장 “분위기 깨는 페미니스트”와 4장 “우울증적 이주자”를 읽고 7월 5일까지 글에 대한 질문 2-3개를 이 글에 대한 댓글로 올려주세요.
(책이 없으신 분들을 위한 PDF파일을 올려두었습니다~)
질문은 어떤 질문이든 괜찮습니다. 남들에게 멋져보이는 질문 말고, 진짜 내가 궁금한 질문,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고 싶은 질문을 올려주세요.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요 하는 질문도 또 자신의 관심분야와 접속시켜 좀 더 멀리까지 연결 해 본 질문도 좋습니다. 부끄러운 마음으로 쓴 이상하고 솔직한 모든 질문들을 환영합니다~!!
질문을 올릴 때에는 글의 어떤 부분에서 생긴 질문인지 알 수 있도록 그 맥락을 질문에 포함해 주세요.
가령, 몇 페이지 어디에서 저자들이 뭐라뭐라고 하는데~ 하는 식으로 그 질문이 나온 맥락을 간단히 정리한 다음 자신의 질문을 적어주시면 이야기 나눌 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올려주신 질문들은 익명으로 모아서 모임 당일 대화에서 활용할 예정입니다.
“맞는 말이긴 한데 그렇게 생각하면 할수록 너만 힘들어(불행해져)”
내가 페미니즘을 알아가며 늘 분노하던 스무살의 동생에게, 또 ‘다문화 아이’로서 마이크어그레션을 겪었던 나 자신에게 했던 말이다.
나는 그 누구보다 행복의 약속을 굳게 믿고,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려, 행복의 조건들을 달성하여 마침내 그것을 얻어내는 것을 목표로 살았다(또는 아직도 그러고 있다). 이런 저런 상황에서 분명하게 느껴지는 뱃속의 불편함을 애써 무시하며, 아냐 이건 불편한게 아냐, 아냐 이건 그럴 수도 있는거야, 이 정도는 별 것 아니야 하면서 살았다.
최근에 나 자신에 대해 돌아보면서 이 지점을 발견하고 조금은 충격받았고, 한편으로는 내 스스로에 대해서 명확하지 않았던 부분을 좀 더 선명하게 이해하게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마침 읽게 된 이 책이 그 지점을 더 잘 설명해주는 관점을 제시해 주었다.
질문: 행복의 약속을 삶 속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며 살았는지, 행복의 약속에 대해 타인에게 어떤 조언/말(저는 동생한테 그냥 무시하면 편해, 그런가보다 하면 편해 이런 말을 했었네요)을 했는지?